p18
주류경제학의 이데올로가적 성격, 이것을 현대 자본주의의 지배층이 어떻게 이용하는지도 짐작할 수가 있다. 금융 부문과 기업 부문의 여러 집단들은 자신들이 자본 축적에 필요한 경우 거침없이 국가재정지출에 의존하며, 때로는 폭발적으로 팽창시키는 일도 서슴지 않는다. 이럴 때의 재정지출은 '국가의 당연한 임무 수행', 즉 공공을 위한 지출이며 마땅히 사회 전체가 떠안아야 할 비용으로 다루고, 이렇게 하여 자신들이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비용을 사회에 전가한다. 그러다가 그렇게 해서 벌어진 재정적자의 팽창이 문제가 되는 지점에 도달하게 되며, 이번에는 '긴축'과 '균형재정'의 대의를 들어 마치 이것이 국가의 관리 부실 때문에 벌어진 문제인 것처럼 시각을 바꾸어 버린다. 그리고 그 주된 책임의 소재로 사회복지 지출의 과다함을 지목하여 가혹한 삭감을 주장한다.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18 인구 절벽이 온다 소비, 노동, 투자하는 사람들이 사라진 세상 / 해리 덴트 지음 (0) | 2017.03.29 |
|---|---|
|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 리아 페이-베르퀴스트, 정희진 외 지음 김지선 옮김 (0) | 2017.03.20 |
| 열한 계단 - 채사장 (0) | 2016.12.27 |
| 브루클린의 소녀 - 기욤 뮈소 (0) | 2016.12.21 |
| 지정학에 관한 모든 것 - 파스칼 보니파스(프랑스 국제관계전략연구소 소장 지음_정상필 옮김) (0) | 2016.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