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

2007년 8월 19일 토요북한산 도봉산번개산행

한 용 석 2007. 9. 25. 19:01

산행일자 : 2007년 8월 19일(일)

 

산행코스 : 망월사역 - 원효사 - 헬기장 - 포대능선 산불감시초소 - 망월사 - 원도봉계곡(원점회귀산행)

               휴식포함 5시간 정도의 초급 워킹산행

포대능선에서 바라본 도봉산의 주 봉우리들

산행지도

 

산행안내 : 토요북한산 촌장님

 

산행인원 : 토요북한산 도우미님들과의 산행(21명?)

 

산행기록 : 오후2시까지 망월사역 엄홍길 기념관 앞에서 모이기로 함.

 

13 : 35 망월사역 도착 - 전철1호선 망월사역(신흥대학) 

전철 뒷칸에 타면 망월사역 3번출구로 바로 연결됨 .

약속장소인 엄홍길 기념관 앞 - 산꾼님께서는 벌써부터 나와계신다. 뜨거운 햇볕에 망월사역 그늘에서 기다림. 

엄홍길 기념과 내부의 모습 - 해외 고지대 산악을 등반할 때 필요한 등산장비들과 엄홍길 대장이 등정한 산의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다. 

14 : 17 신흥대학 정문을 지나 좌측길로 들어서기 직전에 바라본 도봉산의 주 봉우리들 

14 : 20 골목길 진입 

14 : 22 직진하여 원효사 방향으로 진행 

 

14 : 24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공사현장을 지나고 계신 토북가족들

14 : 25 아스팔트길 진입 

14 : 28 오름길으로 오르고 계신 토북가족들 

망월사 시인마을에서 시집을 빌리고 계신 강물~ 님

14 : 30 원각사를 지나 이동중인 토북가족들 - 포장도로는 바로위 주차장까지 연결됨.

 

14 : 34  이정표  포대능선 2.1km , 망월사 1.6km ,  원도봉주차장 0.5km , 포대능선 2.2km , 원효사 0.4km

원효사 방향으로 진행 

원효사로 오르는 길목의 계곡에서 풍류를 즐기고 계시는 님들.

14 : 35 커다란 바위 뒷편 그늘진 공터에서 촌장님의 산행코스 설명과 회원인사를 나눈다.

14 : 50 출발

 

원효사쪽에 보수공사를 위해서 만들어진 시설물 같은데 너무 흉찍하게 보인다. 

우측으로 꺽어진 길로 진입(원효사 가는길)

14 : 51 철제 다리를 건너 직진(좌측은 지장사로 가는길) 

 

14 : 52  이정표 원도봉입구 1.0km , 지장사 0.2km , 포대능선 1.5km , 원효사 0.2km

14 : 56 계곡의 물소리와 숲그늘이 만들어 주는 시원함 속에서 원효사를 향해 오르고 계신 님들

15 : 00 원효사 일주문? 앞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며 시원한 쮸쭈바로 땀을 삭힌다. 

15 : 10 출발 

오늘 산행코스는 촌장님께서 자주 다니시는 곳이라고 하는데 무더운 여름날 시원한 계곡과 숲 그늘이 어우러져 초보자도

부담없이 산행할 수 있는 코스로 제격인것 같다.

15 : 12 원효사 담장옆길로 진입 

원효사 뒤로 푸른하늘아래 포대~사패 능선의 봉우리가 보이고.. 

작은 오솔길로 들어서는 토북가족들 

원효사 담장밑 양지바른 곳에 둥지를 틀고 있는 생명들. 

수량은 적지만 시원한 물소리는 계속되고.. 

15 : 20 물가에 앉아 발담그고 잠시 휴식을 취한다.

도봉산 계곡에서 살고있는 가재들 -  할아버지는 너른 바위에 누워 주무시고 할머니는 혼자 심심하셨는지 물가에서 가재를

잡고 계신다. 할머니랑 물장난 치고 놀았다. ㅎㅎ

15 : 35 출발 

15 : 38 오름길을 쉬엄쉬엄 오르고 계신 토북가족들 

15 : 48 용바위샘 도착 - 이곳에서 물보충을 하며 잠시 휴식을 취한다.

 

15 : 52 출발

 

15 : 53 이정표 원도봉주차장1.7km , 용바위샘 , 포대능선0.6km

 

15 : 55 부드러운 오솔길 

전망이 트인 곳에서 바라본 수락산

15 : 53 이정표 - 이정표 뒤로 보이는 작은 길을 따라 내려가면 회룡골 무명폭포로 이어진다.

                      회룡골의 무명폭포는 길이가 길고 폭포의 규모가 제법 큰 편이나 수량이 부족하여 비가 제법와야  폭포의

                      제 모습을 볼 수 있다.

16 : 10 헬기장 도착 - 헬기장에서 보이는 범골능선 

헬기장에서 보이는 주변 풍경 - 대공포 포대 진지가 있던 자리

16 : 15 식사 

 

 

푸짐한 저녁만찬 - 나는 오늘 산에서 저녁을 먹을거라고는 생각치 못해 아무것도 준비하지 못해 신세만 졌다. ^^;;

노랑베낭님께서 준비하신 즉석 묵요리와 백암순대, 촌장님의 두부와 김치 지금생각해도 침이 꿀꺽~! 정말 맛있었습니다.*^^*

16 : 55 출발 

산물감시초소에서 망월사쪽으로 하산한다. 

17 : 00 휴식 - 선 산불감시초소에서 바라본 도봉산의 주봉우리들

포대능선에서 본 송추 남능선

포대능선 - 도봉산의 주봉인 자운봉(739.5m)에서 북쪽으로 뻗은 능선으로 대공포진지인 포대가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능선의 길이는 약 1.4km이며, 북쪽 사패산 방향으로 원도봉계곡, 회룡계곡, 안골계곡, 송추계곡,

               원각사 계곡으로의 산행이 가능하며, 우이암을 경유하여 우이동계곡 등으로 산행할 수 있는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지구의 주요 탐방로 중의 하나이다.

 

17 : 10  이정표 자운봉 1.4km , 망월사 0.5km , 사패산 2.2km

 

17 : 11 망월사로 내려가는길

 

17 : 25 이정표  망월사 0.02km , 포대능선 0.5km

17 : 25 망월사 도착 - 망월사의 광덕암과 뒤로 병풍처럼 서있는 포대능선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8년(639년)에 해호 승려가 선�여왕의 명에 의해 왕실의 융성을 기리고자 창건했다.

         서라벌 월성을 향해 기원하는 뜻에서 망월사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망월사는 보름달을 감상하기에 좋은 명소로도 이름이 나 있는 장소이며, 명승들을 많이 배출하여 경기지방의

         선사찰로도 유명하다.

 

 

 

17 : 30 출발

 

17 : 35 이정표 포대능선 0.9km , 망월사 0.3km , 자운봉 1.0km , 원도봉주차장 1.0km

17 : 40 덕재샘 도착 - 비가 와서인지 수돗물을 틀어놓은 것처럼 많이 나온다.(물맛은 별루다)

 

덕재샘 옆 물가에서 휴식을 취하며 일행을 기다리고 계시는 토북가족들

 

17 : 57  덕재샘을 지나 하산길 좌측의 커다란 바위에서 나오는 석간수 

예전에 마셨을때는 물맛이 좋았었는데 이번에는 물맛이 미적지근한게 별루였다. (석간수가 아닌가??)

 

17 : 58 이정표  포대능선 1.2km , 망월사 0.7km

 

18 : 10 이정표 포대능선 1.5km , 망월사 0.8km , 원도봉주차장 0.7km

18 : 12 하산길 계곡에서의 물놀이 

물가에서 시원한 탁족으로 피로를 풀며 담소를 나누는 모습 

18 : 40 출발

 

18 : 45 이정표 포대능선 1.7km , 망월사 1.2km , 원도봉주차장 0.5km

18 : 54 원도봉 주차장 식당 밀집지역 진입 앞에 보이는 오르막길이 오늘 올랐던 원효사 가는길입니다. 

식당골목을 지나 하산 

18 : 55 망월사역으로 가는 하산길 

 

하산길에 있는 식당가 

 

18 : 58 원도봉 주차장 도착 - 자연보호 헌장비

          이정표 포대능선 2.6km , 자운봉 2.7km

19 : 00 원도봉 주차장을 지나 하산 

19 : 06 다리건너 오름길이 오늘 올랐던 원효사 방향(망월매표소) 

 

19 : 15 산행종료(망월사 전철역 앞 슈퍼에서 촌장님께서 사주신 메론바 하나씩 입에물고 오늘의 산행을 마무리 했다.)